위 워 솔저스 We Were Soldiers, 2002 요약 미국, 독일 | 액션, 전쟁 | 2002.05.03 | 15세이상관람가 | 138분 감독 랜달 월러스 출연 멜 깁슨, 매들린 스토우, 그렉 키니어, 샘 엘리엇
실제로 참전했던 지휘관과 기자의 이야기를 바탕으로 만든 영화. 호주 출신 멜 깁슨이 언제부터인가 "미국 만세" 노래를 부르는 배우가 되었는데, 이 영화도 크게 다르지 않다. 오글거리는 대사에 "조국을 위해 죽는 영광"을 부르짖는 모습이 과연 월남전에서 그랬을까 싶다. 1980년대도 아닌데 이런 식의 영화를 본다는 건 전쟁 영화 매니아 입장에서 반은 즐겁고 반은 부담스럽다.
이 영화의 가장 큰 단점은 "시점"이 일정하지 않다는 것이다. 관찰자인 기자 시점이었으면 그렇게 끝까지 진행해도 무방했을 것이고 아니면 지휘관인 무어 대령 시선이었어도 괜찮았을 것이다. 그런데 너무 왔다갔다 한다. 베트남 지휘관, 사병, CIA, 미 국방부, 기자, 미군 지휘관, 사병 가족들. 보여주고자 하는 바는 알겠는데 시점이 일정하지 않으니 오히려 난잡하다는 느낌이다.
제1차 대전 때 참호전으로 전선이 고착된 경험을 했던 군인들은 기동력을 바탕으로 한 우회 공격 전술을 쓸 수가 없는 상황에서 어떻게 하면 전선을 뚫을 수 있을까 고민하였다. 제 1차 세계대전은 비행기라는 새로운 도구가 등장하였는데, 이 비행기가 점차 발전을 하여 일정 숫자 이상을 실어 나를 수 있게 되었다. 이에 전선을 하늘에서 공략할 수 있는 부대가 생겼는데 이게 바로 공수부대이다. 독일, 소련, 미국이 모두 공수부대를 운용하였고 전쟁 초반에는 독일의 팔슈름예거가 매우 큰 업적을 보였다. 전쟁 중에 미국이 공수부대를 창설하여 노르망디에서 재미를 보았지만 마켓가든 작전에서 나름 고전을 하였고 소련의 경우 후방 침투 작전이 다소 실패를 겪었다. 2차 대전이 끝나고 미군 공수부대는 한국전쟁에서 다시금 공수작전을 펼쳤는데 2차 대전만큼 효과를 보지 못했다. 다시 말해서 사단급 부대를 침투시키는 작전은 위험도가 너무 컸다.
이에 미군은 새로운 기술인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대대급 부대를 후방 침투시키는 전술을 개발하였다. 이른바 에어본에 이은 헬리본 전술인 셈이다. 이 영화의 무어 대령은 헬리본 전술을 최초로 시험하는 전장에서 해당 부대를 지휘하는 역할을 맡았다. 어쩌면 실패할 지도 모르는 그 역할을 자청한 지휘관으로서 사지에서 부하들이 죽는 모습을 보면 무척이나 슬플 것이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미군이 자기 땅을 지키기 위해서 그 나라에 간게 아니라는 사실을 까 먹고 있다는 점이다.
이 영화에서 미군과 무어 중령의 "자랑스런 모습"만 본다면 영화를 반만 본 것이다. 미군이 죽은 만큼 아니 그 이상으로 베트남인들이 죽었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누군가는 영웅이 되겠지만 그를 영웅으로 만들기 위해서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죽어갔다. 아무런 이유도 없이.
이 영화 명작이다.명작은 시간이 흐를수록 그 가치를 더욱 인정 받는다고 하지 않는가?그래서일까? 시간이 지나고 세월이 지났을때 다시 이 영화를 보게 되면 또 다른 감동과 새로운 장면에 관한 해석을 발견할 수 있다.1700년대 미국에서 일어나고 있던 영토 분쟁에서 보금자리와 사랑하는 사람들을 잃은 미국의 인디언들에 관한 인간적이고 고발적인 영화라고 생각을 한다.
땅의 주인들은 욕심도 과욕도 부리지 않고 자연과 함께 수세기를 지내오고 있었으나 새로운 영토를 차지하기 위한 영국과 프랑스의 등의 유럽 국가들에 의해서 그들의 생활은 한순간에 파괴가 된다.그들이 추구한 세계관과 이상은 탐욕과 정복에 흠뻑 취한 세계관고 충돌을 일으키고 역사의 저편으로 하나둘씩 사라져 버린다.
어떻게 보면 아메리카 본토의 주인이라고 할 수 있는 인디언들은 그들의 조상들과 그들이 추구했던 세계관에 비추어 파괴자들을 용서하는 입장을 취했으니 그것은 그들의 의로운 생각일뿐 유럽인들에게는 통하지 않는다.
미국이 발견되고 나서 미국에서 주인이 있지만 주인을 몰아내고 새로운 주인이 되기 위한 전쟁이 끊이지 않았고 이 과정에서 수 많은 원주민들과 부족들이 사라졌을 것이다.
이는 역사적으로 볼 때 중대한 사항이고 또 범죄이기도 하다.하지만 역사는 승자의 역사라고 하지 않는가?그렇기 때문에 미국 역사에서 인디언들의 전통과 문화 역사,그리고 수 많은 지식들은 역사의 부스러기로 남게 되었다.비단 미국의 원주민 인디언들에게만 통하는 것이 아니라 국제 관계는 예전이나 지금이나 항상 그렇게 다른 나라의 부를 차지하지 위해서 전쟁을 꾸준히 해오면서 쓰여져 온 역사 일 것이다.이런 그들의 행동에 대해서 반성과 보상을 적절히 했을까?그렇지 않을 것이다.시간이 지나고 나면 잊혀지고 그만일뿐 그때의 고통은 잊혀지지 마련이다.
그렇기에 이 영화의 제목처럼 "The Last Of The Mohicans"이라는 제목이 영화의 스토리뿐만 아니라 이 영화가 전달하고자 하는 모든 것을 함축하고 있다.만약 당신의 당신 부족과 문명의 마지막 생존자라면 어떤 생각과 행동을 실천해 옮길 것인가?......
새롭게 이 영화 다시 보면서 느끼게 된 생각들이다.영화의 내용과 줄거리는 너무나도 유명하고 장면 하나 하나 멋진 장면들이 많다.그리고 예전에 KBS에서 주말의 명화를 방영 할 때 나오는 메인 테마 음악이 바로 여기
"라스트 모히칸"에 나오는 OST 이다.잔잔하면서 웅장한 느낌의 OST를 듣고 있노라면 이 영화의 또 다른 매력에 푹빠지게 될 것이다.
다소 잔인한 장면도 있지만 적절하게 배치했고 그 당시 문제가 있었고 전쟁으로 인한 피해를 인디언이 감수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큰 스토리 안에 인간의 원초적인 감정인 사랑을 절묘하게 얻여 놓아서 또 한번 이 영화에 흠뻑 빠지게 한다.
이제 이 영화의 줄거리를 살펴 보자.
이 영화의 배경이 되는 깊은 숲 속..고요함과 함께 왠지 처량함을 동시에 전해준다.그리고 이 배경을 보면서 웅장한 스케일을 짐작하게 된다.
이 영화의 중심이 되는 모히칸족의 남은 생존자들..왼쪽부터 주인공 호크하이,칭카즈국,웅카스 ..
호크아이는 어렸을때 부모와 여동생을 잃고 모히칸 족의 지도자 칭카즈국의 양자로 자라난다.이 셋은 숲에서 사냥을 하며 지내고 켄터키 지역으로 이동을 하면서 웅카스의 배필을 찾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중이다.그리고 이들은 사냥감을 쓰러뜨리고 나면 사냥감을 취하기 전에 의식을 행한다.죽은 후 영혼아 다시 자연의 품으로 돌아가서 편안하게 쉬길 바라는 뜻에서 하는 의식인거 같다.
그래서일까?인디언의 알 수 없은 힘,즉 정령과의 소통에 관한 미스테리한 이야기들이 많이 회자 되고 있는 것도 이들 인디언들의 전통과 깊은 관계가 있을것 같다.
보이는가?2002 월드컵때 모히칸 헤어스타일로 유명세를 치루었던 영국 축구 선수 데이비트 베컴의 모히칸 스타일의 원조격인 머리스타일이다.아이러니하게 영국이 전쟁을 했던 인디언들의 헤어스타일을 영국인이 했다는거...
한 폭의 그림 같은 영상...정말이지 아름답다..
역시 군인에게 힘이 되는 건 바로 사랑하는 사람에 대한 그리움이 아닐까?그중에서도 바로 사랑하는 여인에 관한 애절한 마음은 세계 공통일 듯 하다.
시대를 막론하고 사회 지도층과 민간인들의 관계는 합리적인 관계가 아니었다.지도층의 거만함에 민간인들은 그들의 생존을 맡기고 따르게 된다.
이 인물 주목하라...살벌하면서도 이 영화의 가장 큰 역활을 맡은 호전적인 인디언 "마구아"이다.
사랑하는 약혼자를 전쟁터에서 만나게 된다...이들이 전쟁터에서 만난거 처럼 이들의 만남은 행복하게 끝을 맺지 않을 것이다.
숲 속에서 모습을 보인 퓨마를 보게 된 여자 주인공 (코라)..다음에 다가올 사건을 복선해주고 있다.
인디언들은 전투에서 죽은 사람의 머리가죽을 전리품으로 챙긴다고 전해진다.많은 머리가죽을 가지고 온 전사 일수록 뛰어난 전사로 인정을 받게 된다.
01
적의 습격으로 아무런 죄가 없는 민간인이 피해를 본다,.
생존을 위해서 이들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요세를 향해서 전진한다.
이 장면을 보면서 조금 놀랬던건 바로 모히칸 족의 의상이다.처음에는 바지를 입고 있는 줄 알았으나 그렇지 않고 길게 늘여뜨린 윗옷과 긴 부츠를 입고서 있었다.그렇기에 윗옷을 치우면 사진과 같은 모습이 연출이 된다.
사랑에 빠진 호크아이와 코라..이들의 위험한 사랑은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가?
호크아이는 민병대의 가족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것을 민명대에게 알리고 그들의 탈출을 됩게 된다.그리고 그 죄를 물어서 체포가 된다.
수적,질적으로 열세인 영국군은 신사적인 합의에 의해서 프랑스에 항복을 하고 요세를 내어준다.
012345678
영국군에게 부족과 사랑하는 가족을 잃었던 마구아가 영국군 지휘관에게 복수를 하고있다.그 복수는
바로 지휘관의 심장을 도려내어 먹고 그 자식들을 취하는 것이다.마구아의 이런 행동이 잘못됐다고 할수 없다.영국군의 무고한 인디언 토벌에 의한 정당한 복수일 것이다.
추적해오는 무리를 상대하기 힘들어 잠시 일행과 함께 벗어나 힘을 충전해서 다시 사랑하는 이를 구하기 위해서 나선다.그리고 그녀가 남긴 작은 단서를 쫓아서 세사람은 험난한 모험을 감행하게 된다.
여러분은 사랑을 위해서 모든것을 포기하고 달려 갈 수 있을까?
012345
다른 부족의 땅에 들어 서면서 온갖 고초를 겪는 호크아이.그러나 평화적인 협상을 하기위해 왔기 때문에 그런 수모를 겪어 낸다.다른 부족의 생활권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부족간의 지켜져야 할 의식 인거 같았다.
협상의 결과 결국 희생양이 된 중위를 호크아이가 멀리서 고통을 줄여 준다.
맘에 드는 여인을 만났지만 그녀를 구하기 위해 나섯던 웅카스는 꿈을 이루지 못한체...사라진다.
멀리서 아들의 죽음을 바라본 칭카즈국의 분노는 하늘을 찌른다.이제 모히칸 족의 마지막 생존자는 칭카즈국 하나 뿐이다..비운의 모히칸 족의 부족장..
웅카스의 마음을 알았는지..앨리스도 그의 뒤를 따라 간다.
01234567
아들의 복수를 완성하기에 이른다.웅카스의 영혼을 달래기 위해서 칭카즈국은 어떤 생각을 하고 있었을까?
자 이제 최후다.다른 부족의 우두머리끼리의 대결에서 승자는 칭카즈국이 된다.
죽은 웅카스의 영혼을 조상들의 곁으로 돌려 보내기 위한 의식을 치르고 있다.그리고 칭카즈국은 호크아이를 바라 보면서 의미 심장한 말을 남긴다.
댓글을 달아 주세요